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부를 통한 절세, 이렇게 하면 됩니다!

by jinu1129 2023. 10. 28.

 

기부는 단순히 나눔의 실천을 넘어서 절세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부금액의 일정 부분을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기부를 통한 절세 방법과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본문:

1. 기부금 공제 종류

기부금 공제는 크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소득공제는 기부금액을 소득에서 공제하여 납부해야 할 세금을 줄여주는 방식입니다.
  • 세액공제는 기부금액에 대해 일정 비율을 세금에서 감면해주는 방식입니다.

2. 소득공제 대상 기부금

소득공제 대상 기부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법정기부금: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익법인,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에 대한 기부금
  • 지정기부금: 환경보호, 교육, 의료, 문화, 복지 등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대한 기부금
  • 연말정산 대상 성금: 연말정산 시 기부금영수증을 제출하여 공제받는 성금

3. 세액공제 대상 기부금

세액공제 대상 기부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지정기부금단체에 대한 기부금: 총급여액의 10% 한도 내에서 공제
  • 교육비, 의료비, 장애인소득보전시설에 대한 기부금: 총급여액의 20% 한도 내에서 공제
  • 문화예술, 체육, 환경보호, 학술연구, 종교, 자원봉사 등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대한 기부금: 총급여액의 10% 한도 내에서 공제

4. 기부금 공제 절차

기부금 공제를 받으려면 기부금영수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기부금영수증은 기부금을 받은 단체나 기관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기부금영수증을 발급받은 후에는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또는 세액공제를 신청하면 됩니다.

5. 기부금 공제 주의점

기부금 공제를 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주의점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 기부금의 종류에 따라 공제 대상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기부금영수증을 발급받을 때에는 기부금액, 기부일자, 기부받은 단체명 등을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 기부금영수증은 기부금을 받은 날부터 5년 이내에 발급받아야 합니다.

6. 기부금 공제 혜택

기부금 공제를 받으면 소득세 또는 종합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봉 5,000만원인 직장인이 100만원을 기부했을 경우, 소득공제 혜택으로 30만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7. 기부금 공제 활용하기

기부금 공제는 단순히 나눔을 실천하는 것뿐만 아니라 절세에도 도움이 되는 좋은 방법입니다. 기부금 공제를 활용하여 세금을 줄이고, 나눔의 기쁨도 누리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