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회사 개요
- 설립 및 연혁
- 사업 영역
- 주요 인물
- 재무 정보
- 기업 분석
- 강점
- 약점
- 기회
- 위협
- 사업 전망
- 결론
회사 개요
설립 및 연혁
큐브엔터테인먼트는 2013년 7월 설립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입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SM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 운영되다가 독립했습니다.
사업 영역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음악, 방송, 공연, 영화, 광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연예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악 사업: 가수의 음반 발매, 콘서트 기획, OST 제작 등
- 방송 사업: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제작, 출연자 매니지먼트 등
- 공연 사업: 콘서트, 페스티벌 기획, 공연 제작 등
- 영화 사업: 영화 제작, 투자, 배급 등
- 광고 사업: 광고 모델 매니지먼트, 광고 제작 등
- 스포츠 사업: 선수 매니지먼트, 스포츠 콘텐츠 제작 등
주요 인물
큐브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는 강승곤입니다. 강승곤은 SM엔터테인먼트에서 18년간 근무한 후 2013년 큐브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습니다.
재무 정보
큐브엔터테인먼트의 2023년 6월 기준 매출액은 525억 원, 영업이익은 120억 원, 당기순이익은 100억 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24.3%, 영업이익은 83.5%, 당기순이익은 75.9% 증가했습니다.
기업 분석
강점
큐브엔터테인먼트의 강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탄탄한 아티스트 라인업: 큐브엔터테인먼트는 BTOB, CLC, (여자)아이들, LIGHTSUM, P1Harmony, 펜타곤, 비투비 블루, 라잇썸 등 다양한 장르의 인기 아티스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진출: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중국, 일본,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 진출하여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 신사업 진출: 큐브엔터테인먼트는 NFT, 메타버스 등 신사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약점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속 아티스트의 잦은 계약 해지: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소속 아티스트의 잦은 계약 해지로 인해 우려를 받고 있습니다.
- 경영진의 잦은 교체: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설립 이후 대표이사가 3번이나 교체되면서 안정적인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기회
큐브엔터테인먼트의 기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 K-POP의 글로벌 인기: K-POP의 글로벌 인기가 지속됨에 따라 큐브엔터테인먼트의 해외 시장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신사업의 성장: NFT, 메타버스 등 신사업 분야의 성장은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위협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위협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쟁사의 증가: SM, YG, JYP 등 빅3를 비롯한 경쟁사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의 장기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공연, 콘서트 등 실물 공연 시장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