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사 개요
포스코홀딩스는 1968년 4월 1일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일관제철소로, 연간 4100만 톤의 조강생산체제를 갖추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철강사업, 무역사업, 건설사업, 에너지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시가총액 27조 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주요 사업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철강사업: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산업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철강사업은 포스코홀딩스의 주력 사업입니다. 포스코홀딩스는 2023년 기준으로 세계 5위의 철강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무역사업: 철강, 비철강, 에너지, 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상품을 수출입하는 무역사업은 포스코홀딩스의 두 번째로 큰 사업입니다. 포스코홀딩스는 2023년 기준으로 세계 30위의 무역회사입니다.
- 건설사업: 건물, 도로, 교량,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의 건설사업은 포스코홀딩스의 세 번째로 큰 사업입니다. 포스코홀딩스는 2023년 기준으로 세계 50위의 건설회사입니다.
- 에너지사업: LNG, 수소,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에너지사업은 포스코홀딩스의 미래 성장동력입니다. 포스코홀딩스는 2023년 기준으로 LNG선 20척, 수소 생산능력 10만 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재무제표 분석
포스코홀딩스의 2023년 연결기준 재무제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액 | 85조 1,300억 원 | 91조 7,000억 원 |
영업이익 | 10조 2,600억 원 | 11조 1,200억 원 |
당기순이익 | 8조 6,400억 원 | 9조 2,900억 원 |
포스코홀딩스의 매출액은 2022년 대비 7.5% 증가한 91조 7,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8.4%, 9.1% 증가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매출액 증가는 철강, 무역, 건설 등 주요 사업부의 호실적에 기인합니다. 철강사업의 경우, 전 세계적인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매출액이 10.2% 증가했습니다. 무역사업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 호조로 인해 매출액이 15.1% 증가했습니다. 건설사업의 경우, 해외 건설 수주 증가로 인해 매출액이 13.9% 증가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증가는 원가율 하락과 환차익 증가에 기인합니다. 원가율은 2022년 대비 0.2%p 하락한 73.7%를 기록했습니다. 환차익은 2022년 대비 39.5% 증가한 2조 4,7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3. 경쟁사 분석
포스코홀딩스의 주요 경쟁사로는 중국의 바오산강철, 일본의 신일본제철, 미국의 US스틸 등이 있습니다.
바오산강철은 중국 최대의 철강회사로, 연간 조강생산능력이 1억 톤에 달합니다. 신일본제철은 일본 최대의 철강회사로, 연간 조강생산능력이 1억 톤에 달합니다. US스틸은 미국 최대의 철강회사로, 연간 조강생산능력이 3,000만 톤에 달합니다.